‘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2020년 개봉한 홍원찬 감독의 느와르 액션 영화로, 황정민과 이정재라는 두 배우의 재회만으로도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추격극이 아닙니다. 표면적으로는 킬러 인남과 복수를 꿈꾸는 레이의 대결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그 이면에는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 잠재한 '악'이라는 개념에 대한 날카로운 고찰이 담겨 있습니다. “구하소서”라는 제목 속 기도와 구원의 간절함은 오히려 영화 내내 지옥 같은 현실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냅니다. 캐릭터, 심리, 감정을 중심으로 이 영화가 던지는 ‘진짜 악’의 의미를 깊이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황정민의 ‘인남’, 죄책감과 구원의 경계에 선 인간
인남은 과거 국가를 위해 비밀리에 활동했던 청부살인자입니다. 이제는 은퇴하고 평범한 삶을 살고 싶어 하지만, 딸 유민이 납치되면서 다시 총을 들게 됩니다. 인남은 전형적인 느와르 주인공처럼 과거의 죄를 지우려 하며, 자기 안에 숨어 있던 인간적인 감정을 꺼내들고 고통스러운 길을 자처합니다. 그는 처음엔 ‘구해줘야 할 대상’이 존재해서 움직이지만,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죄와 마주하고, 누군가의 아버지로서 스스로를 재정의하려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가 싸우는 상대는 단지 레이가 아닙니다. 과거의 자기 자신, 그리고 그로 인해 잃어버린 인간성, 즉 ‘속죄받지 못한 죄책감’과 싸우는 것입니다. 인남의 고독한 심리는 대사보다 행동과 눈빛으로 표현됩니다. 무표정한 얼굴 뒤에 감춰진 불안과 후회는, 인남이 처한 감정적 상황의 깊이를 보여줍니다. 방콕이라는 낯선 도시 속에서 그는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단절된 존재로 표현되며, 그의 여정은 결국 자기 내면으로 향하는 여정으로 읽힙니다. 인남은 악인이었지만, 더 이상 그 삶을 지속하고 싶지 않았던 사람입니다. 그가 딸을 구하려는 이유는 단순한 책임감이 아니라, 자신이 마지막으로 구원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붙잡으려는 안간힘이었습니다.
이정재의 ‘레이’, 본능적으로 태어난 순수한 악
레이는 영화에서 단연 돋보이는 존재입니다. 그는 인남에게 형제 같은 인물을 잃은 복수를 빌미로 추적을 시작하지만, 그의 행동은 단순한 복수심 이상입니다. 레이는 인간적인 감정이 결여된 채 철저하게 본능과 쾌감에 따라 움직이며, 말보다 시선과 행동으로 공포를 유발하는 ‘살아 있는 악’의 상징입니다. 그는 오히려 인남보다 더 감정적으로 풍부하게 보일 수 있지만, 그 감정은 철저히 왜곡되고 파괴적입니다. 그는 고통을 즐기고, 죽음에 두려움이 없으며, 타인의 고통을 예술처럼 대합니다. 살인을 단지 복수의 수단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레이는 악의 화신이라 불릴 만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영화가 레이의 과거에 대해 거의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는 왜 이렇게 되었는지, 무엇이 그를 괴물로 만들었는지 알려주지 않습니다. 관객은 설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레이에게서 본능적인 공포를 느끼며, 이는 곧 인간이 이유를 알 수 없는 악에 대해 얼마나 무력한 존재인가를 드러냅니다. 레이는 누군가의 창조물도, 사회의 희생자도 아닙니다. 그는 그저 ‘존재하는 악’이며, 바로 그렇기 때문에 더 무섭고 섬뜩합니다.
악과 감정, 그 경계는 정말 존재하는가?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제목에서 드러나듯 종교적 의미와 도덕적 질문을 품고 있습니다. 그러나 영화 속 세계는 절대적인 선이나 절대적인 악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남은 살인을 저질렀지만 아버지로서 자신의 딸을 구하려는 본능을 따르고, 레이는 복수를 말하지만 그 안엔 인간성을 완전히 잃은 괴물이 있습니다. 이 영화는 ‘악’이라는 개념을 고정된 틀로 보지 않고, 감정, 과거,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합니다. 악은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행위일 수 있지만, 그 의도와 상황, 결과에 따라 그 성질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남의 살인은 분명 죄이지만, 딸을 위한 그의 행동은 용서와 구원을 향합니다. 반면, 레이의 악행은 어떤 이유나 변명이 불가능한 순수한 파괴의 연속이며, 인간성을 거부한 자의 최후로 묘사됩니다. 또한 영화는 ‘악’을 둘러싼 인간의 감정을 세밀하게 묘사합니다. 두 주인공 모두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극단적이지만, 그 감정이 완전히 부재한 것은 아닙니다. 인남은 죄책감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고, 레이는 왜곡된 방식으로 복수심을 감정적으로 표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 영화에서 ‘악과 감정의 경계’가 얼마나 흐릿한지를 체감하게 됩니다. 악은 반드시 감정이 결여된 상태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과도한 감정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는 점을 영화는 조용히 던지고 있습니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단순한 액션 영화가 아닙니다. 총성과 피로 가득한 장면 속에서도, 이 영화는 묵직한 질문을 던집니다. “진짜 악은 누구인가?” 그리고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관객 스스로에게 묻게 합니다. 악은 타인을 해치는 행동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자신을 용서하지 못하는 마음, 구원을 포기한 태도, 감정 없는 관계 속에서 자라날 수 있습니다. 영화는 인남과 레이라는 두 인물을 통해 선악의 경계가 얼마나 복잡하고 섬세한지를 보여줍니다. 누군가의 눈에는 인남이 살인자이고 레이가 피해자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영화는 그런 일방적인 해석을 유도하지 않고, 관객 스스로 판단하도록 여백을 남깁니다. 바로 그 여백이 이 영화를 오래도록 곱씹게 만드는 이유입니다. 결국 이 영화는 우리에게 묻습니다. “당신은 악에서 구원받을 수 있는가?” 그리고 “그 구원은 누구에게나 주어지는가?” 우리는 그것을 영화 속에서 답하지 못하고, 각자의 삶 속에서 찾아야 합니다.